좀마삭줄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,879회 작성일 05-10-29 21:23본문

목 명 용담목 한 글 마삭줄
과 명 협죽도과 한 자 白花藤, 絡石, 石血, 雲丹.
속 명 향 명 마삭나무,마삭(제주)
구 분
학 명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. intermedium Nakai
일 어
영 문 Chinese Ivy, Chinese Jasmine Climing Bagbane
일반정보
원산지 한국
분 포 남부지방의 온난한 해안이나 도서지방의 표고 50~1,100m에서 자라며 제주, 전남(완도, 보길도, 지리산), 전북, 경남에 분포한다.
형 태 상록활엽의 덩굴성 수목.
크 기 길이가 5m 정도까지 자란다.
잎 잎은 대생하는데 타원형,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2-5cm, 폭 1~3cm로서 표면은 진록색에 혁질로 광택이 있고 측맥은 잎가의 맥과 연결된다. 잎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5mm 정도 된다. 잎 형태의 변이가 많으며, 몇 종의 원예종이 있다.
꽃 꽃은 5-6월에 피고 직경 2~3cm이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하고 취산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5~10mm 정도 된다.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7-8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선회상(旋回狀)이고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으며 꽃밥 끝이 화통부 입구까지 닿고 암술대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.
열 매 골돌은 길이 12-22㎝로서 2개가 서로 평행하거나 예각으로 벌어지며 9월에 익는다.
줄 기 줄기 길이가 5m이상이고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고 줄기에서는 뿌리가 내리며 다른 물체에 붙어 자란다.
뿌 리 잔근성이다.
생육환경
내한성이 약하나 음지나 양지에서 생육이 양호하며, 해안지방에서는 잘 자라지만 이식이 다소 어렵고 내공해성은 강한 편이다. 내건성 식물로 보통으로 관수관리하며, 공중습도는 약간 다습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.
광선 양생,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보통 수분 습윤
꽃/번식방법
삽목 또는 취목으로 행하며, 실생으로도 행한다.
개화기 5월,6월 꽃의 색 노란색,흰색
재배특성
화분재배시에는 밭흙:부엽:모래를 5:3:2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배한다. 이식이 용이하다.
재배작형 파종기 이식기 결실기 9월 삽목기 6월,7월
이용방안
▶분화식물로 관상하거나 난대지역의 정원석이나 고목에 올려 정원수로 이용하기도 한다.
▶당마삭줄/마삭줄/털마삭줄의 경(莖), 엽(葉)은 絡石藤(낙석등), 과실은 絡石果(낙석과)라 하며 약용한다.
⑴絡石藤(낙석등)
①가을에 잎이 떨어지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.
②성분 : 줄기는 arctiin, tracheloside, matairesinoside, nortracheloside, dambonitol, β-sitosterol-glucoside, cymarose 등을 함유한다.
③약효 : 祛風(거풍), 通絡(통락), 止血(지혈), 祛瘀(거어)의 효능이 있다.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(비통), 筋脈拘攣(근맥구련), 癰腫(옹종), 喉痺(후비), 吐血(토혈), 타박상, 産後惡露不行(산후악로불행)을 치료한다.
④용법/용량 : 6-10g을 달여서 복용한다. 또 술에 담그거나, 散劑(산제)로 해서 사용한다. <외용> 가루를 만들어 고루 바르던가 혹은 짓찧어 낸 즙으로 씻는다.
⑵絡石果(낙석과)
①7월에 채취하는데 덜 익은 과실이 좋다.
②약효 : 筋骨痛(근골통)을 치료한다.
③용법/용량 : 5-15g을 달여서 복용한다.
보호방안
유사종
▶무늬마삭줄(T. asiaticum Nakai var. variegatum Hort.)
▶백화등(var. majus Ohwi) : 경남지방에 자라며, 전체가 대형이다. 꽃과 잎이 둥글고 크며 향기가 강하다.
▶긴잎마삭줄(T. asiaticum var. blanceolate) : 경남에 자라며 잎은 버들잎처럼 좁고 길다.
▶민마삭줄(var. asiatica Nakai) : 줄기에 달린 잎에 털이 없고 잎이 크다.
특징
바위 및 나무 위로 기어 오르는 성질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.
*출처:한국의식물자원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